다문화이론 문화다원주의 문화다원주의(cultural pluralism): 샐러드 볼 모형(salad bowl model)으로도 불리며, 민족마다 다른 다양한 문화나 언어를 단일의 문화나 언어로 동화시키지 않고 공존시켜 서로 승인·존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다원주의는 문화적 집단들이 각각 문화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문화와의 공통된 부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타협의 과정을 거쳐 사회를 통합하는데 중점 문화다원주의는 문화동화주의를 배격하고, 인종이나 민족에 기반을 둔 차별을 배제하며, 지배집단이 소수집단의 문화를 말살하려는 강압적 문화이론에 반대 문화다원주의는 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집단들에 대해 그 동등함을 인정하고, 성숙한 존중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적 모습을 지님
다문화이론 문화적 차별과 배제 문화적 차별-배제모형: 이주민의 노동시장 참여와 같은 특정 영역에의 참여는 허용하지만 사회복지제도나 시민권, 정치적 참여 등의 영역에 접근하는 것은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원치 않는 이주민의 정착을 차단하려는 모형 문화적 배제는 국적 유무와 같은 공식적 법률제도 하에서 뿐만 아니라 인종차별 등의 현태로 비공식적 차원에서도 나타나며, 이주민은 다양한 차별과 억압 등의 사회적 배제를 경험 문화적 차별과 배제는 주로 특정 인종집단으로 구성된 국가, 역사적으로 외부의 침탈과 억압을 받거나 국경 분쟁을 겪는 국가 등에서 주로 나타남 이들 국가는 새로운 언어와 문화적 다양성이 자신의 문화를 위협할 것이라고 보고 민족적 순수성과 문화적 동질성을 지키려고 노력하며, 제한적 이민정책을 실시하고..
유럽과 비유럽 세계의 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냉전과 그 종식, 탈식민지화, 국제화와 세계화이다. 냉전은 트루먼 독트린으로 시작됬기때문에 1947년이 본격적인 시작이라는 시각도 있으나, 양차대전 중 이미 소련의 부상으로, 불안감을 느낀 서방의 견제가 있었다. 먼저 1944년의 브레턴 우즈 회의 (공황을 겪고나서, 경제의 지구화 인식하고 경제적 문제를 세계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추진. 미국이 세계경제를 미국 중심으로 만듬. 달러가 기축통화되고 달러가 태환화폐가 됨.)나 트루먼독트린, 마셜플랜 등으로 미,소 양 극단의 갈등이 고조되었다. 영국은 대영제국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다른 유럽국을 무시하고 거리를 두고, 미국과의 특별한 관계를 중시했으나, 미국은 수에즈 운하 사건과 같이, 미국의 해관계가 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