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사용목적별 분류 ① 가정용수 : 기온 등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나 먹는 물로 직접 섭취하는 수량과 음식물로 섭취하는 수량은 약 2~3L 정도이고, 요리, 세탁, 목욕, 수세식 화장실 등에 소요되는 수량을 합하면 약 100L 내외가 되며 정원, 세차 등의 용도를 고려하면 100~200L 가 추가된다. 농촌의 경우 가축용수량을 고려. ② 업무 및 영업용수 : 관공서, 학교, 병원, 호텔, 음식점, 극장, 교통시설(선박급수 포함)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시설규모, 이용인구수 등에 따라 산출. ③ 공업용수 : 업종에 따라 사용량이 현저히 다르며, 과거 사용실적을 참고하되 종업원, 생산량, 매출액, 부지면적, 시설의 자동화 등의 정도에 따라 측정. ④ 잡용수 : 분수, 도로살수, 녹지관리, 가로청소 및 공사용 등..
용수수요량 ◦ 생활용수 > 영업용수 > 업무용수 > 공업용수 > 기타용수( 유수수량 기준) 공업용수: 대단위 공업단지의 공업용수 수요를 별도로 추정하는 경우는 공업용 수 원단위(부지면적당, 종업원당 및 생산액당 수요량)를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 기타 용수량 : 관광지, 피서지, 접안시설, 군부대 및 특수시설이 계획되어 있는 경우에 반영 ◦ 관광용수의 경우 최대일율 및 회전율을 고려하여 추정하되 관광단지의 특성에 따라 관광객의 체류시 간 및 체재일수는 크게 다르기 때문에 계절형별 관광용수 원단위 및 단위바닥면적당 원단위를 활용. ◦ 관광단지 계획이 미흡한 단지에 대해서는 주요 시설의 건축면적에 따라 사용수량을 적용•산출